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은 모든 사용자, 특히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웹 콘텐츠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많은 가이드라인과 표준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WCAG(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와 APCA(Accessible Perceptual Contrast Algorithm)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WCAG의 다양한 버전과 APCA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들의 차이점과 최신 동향을 살펴보겠습니다.
WCAG는 웹 콘텐츠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국제 표준 가이드라인입니다. 주로 시각, 청각, 인지 장애를 가진 사용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이 웹 콘텐츠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WCAG 2.0
WCAG 2.0은 2008년에 발표된 버전으로, 웹 접근성의 4가지 원칙(인식 가능, 운용 가능, 이해 가능, 견고함)을 기반으로 12개의 지침(Guideline)과 61개의 성공 기준(Success Criteria)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WCAG 2.0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WCAG 2.1
WCAG 2.1은 2018년에 발표된 버전으로, WCAG 2.0을 기반으로 하여 모바일 기기와 저시력, 인지 장애 사용자를 위한 추가 지침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WCAG 3.0
WCAG 3.0은 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웹 접근성 가이드라인으로, 기존 WCAG 2.x 버전과는 상당히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APCA(Accessible Perceptual Contrast Algorithm)는 웹 콘텐츠의 색 대비를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입니다. 기존의 WCAG 대비 가이드라인보다 시각적 인지와 관련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더 정확한 평가를 제공합니다. APCA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WCAG는 정량적 평가에 중점을 두지만, APCA는 인지적 평가를 포함하여 보다 현실적인 색 대비 평가를 제공합니다.
APCA는 텍스트의 크기, 굵기, 배경색 등에 따라 동적인 색 대비 기준을 적용합니다. 즉, 작은 글씨와 큰 글씨, 얇은 글씨와 굵은 글씨에 대해 각각 다른 대비 기준을 적용합니다. 이는 텍스트가 다양한 상황에서 가독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결론
Figma 여러개의 섬네일에 이미지 동시 적용하기 (0) | 2025.03.26 |
---|---|
Spring Animation은 무엇인가? (1) | 2024.11.25 |
맥에서 일러스트레이터 앱의 언어를 한글에서 영문으로 변경해본 후기 (1) | 2023.06.02 |
figma에서 이미지 사이즈가 1px 크게 저장되는 문제. 소수점이 문제가 아니다. (0) | 2023.02.21 |
미학보다 효율성, 투박하고 단순명료함 '브루탈리즘' (1) | 2023.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