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새로운 버전이 나왔구나' 정도로만 생각했는데, 자세히 알아보니 그 변화가 꽤 큽니다.
와이파이7은 기존 와이파이6E보다 최대 4.7배 빠른 속도를 제공한다고 해요. 이론적으로는 최대 46Gbps까지 지원된다고 하니, 정말 놀라운 수치죠. 320MHz의 대역폭을 지원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고 합니다.
현재 와이파이7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은 제한적이에요. 예를 들어, 삼성의 갤럭시 S24 울트라 모델은 와이파이7을 지원하지만, S24와 S24 플러스 모델은 와이파이6E까지만 지원한다고 해요.
애플의 경우, 아이폰16 시리즈부터 와이파이7을 지원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iPhone 16 시리즈에서 Wi-Fi 7을 지원하지만, 실제 성능은 Wi-Fi 6E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iPhone 16이 Wi-Fi 7의 핵심 기능인 320MHz 대역폭을 지원하지 않고 160MHz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프랑스의 Les Numériques는 TP-Link Deco BE85 Mesh Wi-Fi 시스템과 10Gbps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iPhone 16 Pro와 iPhone 16 Plus의 Wi-Fi 성능을 테스트했습니다. 그 결과, 두 모델 모두 1.6~1.7Gbps의 속도를 기록했으며, 이는 Wi-Fi 6E를 지원하는 iPhone 15 Pro Max와 유사한 수준입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Wi-Fi 7이 더 빠른 속도를 제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용에서는 큰 차이를 느끼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출시된 Apple의 모든 MacBook 모델은 Wi-Fi 7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최신 M4, M4 Pro, M4 Max 칩이 탑재된 2024년형 MacBook Pro 모델조차도 Wi-Fi 6E까지만 지원합니다 . 현재로서는 Apple의 MacBook 제품군에서는 Wi-Fi 7을 지원하는 모델이 없습니다. 향후 출시될 M5 칩 기반의 MacBook 모델에서 Wi-Fi 7 지원이 추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윈도우 PC가 와이파이7을 지원하려면 메인보드 자체에서 직접 지원하거나, 와이파이7을 지원하는 무선 랜 카드(무선 모듈)가 장착되어 있어야 해요.
최근 출시된 최신 메인보드 일부는 이미 와이파이7을 지원하는 무선 모듈을 내장해서 나오기도 하는데요, 대부분은 별도의 확장 카드(PCIe 형태)를 추가하거나, 최신형 인텔 코어 울트라 시리즈나 AMD Ryzen 등 최신 프로세서가 탑재된 메인보드에서만 지원 가능하다고 합니다.
와이파이7의 성능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이를 지원하는 공유기와 기기가 필요해요. 아직은 와이파이7을 지원하는 공유기가 많지 않지만, 점차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고 해요.
🧾 IEEE 표준 (IEEE standard)
와이파이에는 종류를 구분하는 번호가 있어요.
와이파이 5 = 802.11ac
와이파이 6 / 6E = 802.11ax
와이파이 7 = 802.11be
숫자가 높을수록 최신 기술이고, 더 빠르고 똑똑해졌다고 보면 돼요.
🚀 최대 속도 (Peak Speed)
이건 ‘이론상’ 가장 빠를 때 낼 수 있는 속도예요.
실제 사용 속도는 이것보다 느리지만, 숫자가 높을수록 다운로드나 스트리밍이 훨씬 빨라져요.
📡 주파수 대역 (Frequency Bands)
와이파이가 데이터를 보내는 ‘도로’라고 생각하면 돼요.
2.4GHz: 느리지만 장애물 잘 통과
5GHz: 빠르지만 벽엔 약함
6GHz: 더 빠르고 최신 기술
와이파이 6E와 7부터는 이 6GHz 도로까지 써서 훨씬 빠르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어요.
🎚️ 채널 대역폭 (Channel Bandwidth)
도로의 ‘폭’이에요. 넓을수록 더 많은 데이터가 동시에 지나갈 수 있어요.
와이파이 5: 최대 160MHz
와이파이 7: 최대 320MHz (두 배!)
도로가 넓으면 당연히 차도 더 많이, 빠르게 다닐 수 있겠죠?
🛣️ 공간 스트림 (Spatial Streams)
한 번에 몇 줄기(길)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지를 말해요.
와이파이 5, 6: 최대 8개
와이파이 7: 최대 16개
길이 많을수록 여러 기기가 동시에 빠르게 사용할 수 있어요. 집에 스마트폰, 태블릿, TV 많다면 중요해요!
💡 최고 변조 방식 (Highest Modulation)
쉽게 말해, 데이터를 얼마나 정교하게 압축해서 보내는지예요.
와이파이 5, 6: 1024-QAM
와이파이 7: 4096-QAM (더 똑똑하게 압축해서 더 많은 정보 전송 가능!)
복잡한 퍼즐을 더 작게, 더 많이 담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돼요.
📍 액세스 포인트 기술 (Access Point Technology)
공유기가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도 진화했어요.
와이파이 5: 한 기기씩 빠르게
와이파이 6/6E: 여러 기기에 동시에 (OFDMA, MU-MIMO)
와이파이 7: 멀티링크 기능까지! (여러 통로로 한꺼번에 연결, 끊김 방지)
집에 기기가 많아도 느려지지 않게 도와주는 기술이에요.
기술은 점점 좋아지지만,
주변 환경이 그걸 따라와 주는 시간도 필요한 것 같아요.
지금은 그냥 그 흐름을 천천히 지켜보는 중이에요. 🛋️
혹시 저랑 비슷한 고민하고 있다면,
지금이 꼭 바꿔야 할 타이밍은 아닐 수도 있어요.
그냥 그럴 수도 있다는, 조심스러운 생각이에요. 🌿
왜 우리나라는 저출산 세계 1위일까? 고출산 국가와 비교해보기 (4) | 2025.04.15 |
---|---|
모닝 브레스. 아침에 입냄새가 특히 심한 이유? 해결 방법 알아보기 (2) | 2025.04.14 |
용인을 지나는 GTX-A, SRT 노선 알아보기 (1) | 2025.02.21 |
편도염과 편도결석: 차이점과 증상 알아보기 (1) | 2024.07.31 |
자위 행위는 근육 운동에 방해가 될까? (1) | 2024.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