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본에서 연쇄상구균 독성 쇼크 증후군(STSS)의 확산이 보고되고 있어 여행객들 사이에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STSS는 A군 연쇄상구균에 의해 발생하는 매우 드물지만 치명적인 감염병으로, 치사율이 3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병은 주로 비말과 신체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감염되면 고열, 인후통, 충혈된 눈, 설사 및 근육통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감염 초기 증상: 보통 감기와 유사하며,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감염 사실을 인지하지 못합니다.
기타 증상:
패혈성 인두염, 편도선염, 폐렴, 뇌수막염 등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각한 경우 패혈성 쇼크, 다발성 장기 부전 및 괴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감염된 피부가 붉게 변하면서 피부 아래 조직이 부어오르고 따끔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농가진과 인후염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인후염은 주로 5~15세 소아 및 청소년에게 나타납니다.
오한, 발열, 두통, 메스꺼움, 전신 통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 감염된 경우 주로 항생제로 치료되지만, 증세가 심한 환자의 경우 기타 약물을 추가로 복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 투약 후 24시간이 지나면 감염성이 크게 저하됩니다.
STSS의 원인균인 A군 연쇄상구균. CDC
코로나와 반대로50세 미만에서 높은 치사율을 보인다.
일본 내에서는 지난해에 비해 올해 들어 STSS의 감염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50세 미만에서 높은 치사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일본 보건 당국은 기본적인 위생 수칙 준수를 강조하며 주의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여행객들은 마스크 착용, 손 씻기, 기침 에티켓 등의 개인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며, 인후통이나 발열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 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일본 여행을 계획 중인 사람들은 STSS에 대한 최신 정보와 여행 경보를 주시하고, 여행 전후로 건강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록 STSS가 매우 드문 질병이지만, 감염 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예방과 조기 대응이 필수적입니다.
발병 건수: 2023년 한 해 동안 941건의 STSS가 기록되었으며, 2024년에는 2월까지만 378건이 보고되었습니다.올해 1~2월 동안에만 지난해 총 보고 건수의 약 40%에 해당하는 378건이 발생했습니다.
사망자 수: 2023년 7월부터 12월 사이에 STSS로 진단받은 50세 미만 환자 65명 중 약 3분의 1인 21명이 사망했습니다. 치사율은 30%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위치 및 확산 범위: STSS는 일본 47개 현 중 2개 현을 제외한 45개 현에서 감염이 확인되었습니다.
STSS의 발병 원리와 과정
연쇄상구균 독성 쇼크 증후군(STSS,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은 주로 A군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에 의해 발생하는 심각한 질병입니다. 이 A군 연쇄상구균은 피부나 점막을 통해 인체에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키며, 특히 피부 상처나 인후염 같은 상태에서 더욱 쉽게 감염될 수 있습니다. STSS의 발병 기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박테리아의 침입: A군 연쇄상구균은 피부의 손상된 부위나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들어갑니다. 이 박테리아는 피부 감염, 인후통, 편도선염 등 다양한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독소(슈퍼안티젠)의 생성: A군 연쇄상구균은 여러 종류의 독소를 생산합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엑소톡신(exotoxins)인 슈퍼안티젠(superantigens)은 인체의 면역 시스템과 반응하여 심각한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이 슈퍼안티젠은 T림프구와 항원 제시 세포 사이의 비특이적 결합을 유도하여 면역계의 과도한 활성화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대량으로 분비됩니다.
염증 반응의 촉진: 슈퍼안티젠에 의한 면역계의 과도한 활성화는 전신적인 염증 반응을 일으키며, 이는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혈압 감소, 장기 손상,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치명적인 증상의 발현: STSS는 발열, 저혈압, 발진, 그리고 다발성 장기 부전과 같은 심각한 증상을 동반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빠르게 진행되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높은 치사율을 보입니다.
A군 연쇄상구균. 위키피디아
A군 연쇄상구균이 뭐길래...
A군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을 곤충의 분류 체계에 비유한다면, 나비도 아닌 '왕나비(Monarch butterfly, Danaus plexippus)'와 같은 세부적인 종의 명칭에 해당합니다. 이는 생물학적 분류에서 가장 구체적이고 정확한 수준인 '종(Species)' 단위로 분류된 명칭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A군 연쇄상구균은 연쇄상구균이라는 넓은 범주 내에서도 매우 구체적으로 정의된 하나의 균종을 지칭합니다.
일부 다른 연쇄상구균은 정상적인 인간의 피부나 점막의 일부로서 상주하며, 대부분의 경우 건강한 사람에게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주하는 박테리아는 "정상적인 미생물 군집"의 일부로서, 감염을 방지하고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반면, A군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은 주로 감염성 질환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일반적으로 사람의 정상 미생물 군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 균이 인후, 피부, 혹은 다른 부위에 비정상적으로 침입하거나 증식할 때, 인후염, 농가진, 풍진, 류마티즘열 등 다양한 감염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사람의 피부나 점막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다른 미생물들과의 균형이 깨지거나 면역 체계가 약화될 때 이러한 감염이 더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